맨위로가기

벳푸-시마바라 지구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벳푸-시마바라 지구대는 일본 큐슈 중앙부에 위치하며, 동북동-서남서 방향으로 약 200km, 폭 20km~30km로 뻗어 있는 지구대이다. 이 지역은 정단층 운동과 주향 이동 단층성 운동에 의한 지진이 우세하며, 많은 활화산과 활단층이 분포한다. 주요 활단층으로는 미즈나와 단층대, 후타가와·히나구 단층대, 벳푸-만넨야마 단층대, 운젠 단층군 등이 있으며, 필리핀해판 섭입대의 영향으로 지각 변형과 지진 활동이 나타난다. 1596년 게이초 분고 지진과 2016년 구마모토 지진 등 내륙형 지진 발생 지역으로, 내륙형 지진에 대한 경계가 필요한 지역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단층 - 이토이가와-시즈오카 구조선
    이토이가와-시즈오카 구조선은 일본 알프스 형성에 기여하고 동일본과 서일본의 생태계 경계를 이루는 주요 지질 구조선으로, 활성 단층대로 인해 지진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일부 구간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고 이토이가와시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받았다.
  • 일본의 단층 - 사가미 해곡
    사가미 해곡은 사가미만에서 보소반도 남동쪽 해역에 걸쳐 있는 해곡으로, 지각 변동과 판 경계 단층의 관점에서 사가미 섭입대에 해당하며, 사가미 메가스러스트는 간토 대지진과 같은 거대 지진의 원인이 되는 필리핀해판과 북아메리카판의 경계이다.
벳푸-시마바라 지구대
지리 정보
벳푸-시마바라 지구대 지도
벳푸-시마바라 지구대 지도 (한국어)
개요
이름 (한국어)벳푸-시마바라 지구대
이름 (일본어)別府‐島原地溝帯 (べっぷ-しまばらちこうたい)
로마자 표기Beppu-Shimabara Chikōtai
위치규슈 섬 중앙부
방향북동-남서 방향
특징지구대
활성 단층 시스템 발달
높은 지열 활동
활발한 지진 활동
지질학적 특징
주요 화산쓰루미산
구주산
아소산
운젠산
마그마 유형판 내부형 마그마
섬 호형 마그마
확장 응력장남북 방향
단층 유형정단층
지각 변동
특징규슈 중앙부의 남북 방향 확산
관련 이론오키나와 해곡의 북동쪽 연장 가능성
연구
연구 기관교토 대학 대학원 이학 연구과 부속 지구 열학 연구 시설
연구 주제벳푸-시마바라 지구대에서의 지진 활동과 화산 활동의 상호 작용
기타 정보
관련 지진2016년 구마모토 지진과의 관련성 연구

2. 응력 구조

일본 남서부(규슈, 시코쿠, 남서 혼슈)는 난카이 해곡 서쪽이자 류큐 해구 북단에 위치한다. 큐슈 전역에는 동북동~북동 또는 동-서 방향의 최대수평응력과 북북서~북서 또는 남-북 방향의 최소수평응력이 분포하며, 정이동성 응력 환경이 우세하다. 이는 이 지역 활성단층들의 운동 양상과도 일치하는데, 큐슈 중앙부를 따라 동북동 내지 북동 방향으로 배열된 구조선들은 대부분 정단층(Beppu-Shimabara Graben) 또는 우수향 주향이동단층으로 운동하며, 북북동~북북서 방향의 구조선(Kagoshima Graben)들은 좌수향 주향이동단층이나 역단층이 우세하다. 이러한 양상은 측지학적 연구 결과와도 부합한다.[24]

2. 1. 벳푸-시마바라 지구대의 특징

벳푸-시마바라 지구대는 동북동에서 서남서 방향으로 약 200km, 폭 20~30km로 뻗어 있다. 이 지역에는 활화산이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지진 활동이 활발하다.[24]

벳푸-시마바라 지구대를 따라 존재하는 주요 활단층으로는 북쪽의 미즈나와 단층대, 남쪽의 후타가와 단층대·히나구 단층대, 동쪽의 벳푸-만넨야마 단층대, 서쪽의 운젠 단층군이 있다. 이들 활단층의 대부분은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남북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받아 정단층형 운동을 일으킨다. 이때 우향 이동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벳푸-시마바라 지구대의 남서쪽 연장선에는 오키나와 해구(동중국해)가 있는데, 여기에서도 얕은 깊이의 정단층이 보인다.[24]

일본 열도에서 보이는 단층은 횡이동 단층이나 압축하는 힘을 받는 역단층이 많으며, 정단층은 드물다고 한다.[8]

벳푸-시마바라 지구대는 내륙형 지진에 경계해야 할 지역으로 여겨진다. 1596년 게이초 분고 지진벳푸만 해저에 있는 벳푸-만넨야마 단층대의 정단층형 활동이 일으킨 것으로 추정된다. 2016년 구마모토 지진에서는 북동쪽의 벳푸-만넨야마 단층대 방면에도 유발 지진이 발생하여, 벳푸-시마바라 지구대 전체의 활동이 활발해졌다.[24]

2. 2. 필리핀해판 섭입과의 관계

일본 남서부 지역(큐슈, 시코쿠, 남서 혼슈)은 지질학적으로 난카이 해곡의 서쪽이자 류큐 해구의 북단에 해당한다. 큐슈 전반에 걸쳐 동북동~북동 내지 동-서 방향의 최대수평응력과 북북서~북서 내지 남-북 방향의 최소수평응력이 분포하며, 정이동성 응력환경이 우세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역사지진 연구 결과, 일반적으로 큐슈 남부 연안에는 역단층 운동에 의한 지진이 우세한 반면, 큐슈 중앙부의 '''벳푸-시마바라 지구대'''를 따라서는 정단층 운동과 주향 이동 단층성 운동에 의한 지진이 우세한 것으로 관찰된다.

이와 같은 일본 남서부 큐슈 지역의 지각변형, 지진, 현생 응력장 발달 특성은 현재 필리핀해판 섭입대의 배호 지역 내에서 배호 확장이 발생되고 있음을 지시하며, 이는 일본 남서부를 따라 비교적 고각으로 섭입 중인 필리핀해판 섭입대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또한 이러한 해석은 최근의 구마모토 지진 분석 결과에 의해서도 지지되는데, 2016년 4월 15일 발생한 규모 7.3의 이 지진은 주오 구조선을 따라 분포하는 N46°E/84NW의 단층면을 따라 발생한 우수향 주향이동단층운동에 의해 발생한 천발지진으로 보고되었다.[24]

3. 주요 활단층

벳푸-시마바라 지구대에 따라 존재하는 주요 활단층으로는 북쪽의 미즈나와 단층대, 남쪽의 후타가와 단층대·히나구 단층대, 동쪽의 벳푸-만넨야마 단층대, 서쪽의 운젠 단층군이 있다.[24] 이들 활단층의 대부분은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남북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받아 정단층형 운동을 일으킨다. 이때 우향 이동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일본 열도에서 보이는 단층은 횡이동 단층이나 압축하는 힘을 받는 역단층이 많으며, 정단층은 드물다.[8] 벳푸-시마바라 지구대의 남서쪽 연장선에는 오키나와 해구(동중국해)가 있는데, 여기에서도 얕은 깊이의 정단층이 보인다.

4. 주요 지진

일본 남서부 큐슈 지역은 필리핀해판 섭입대의 영향으로 배호 확장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벳푸-시마바라 지구대의 지각 변형, 지진, 현생 응력장 발달 특성과 관련이 있다.[24] 벳푸-시마바라 지구대는 동북동에서 서남서 방향으로 약 200km, 폭 20~30km로 뻗어 있으며, 활화산지진 활동이 활발하다.

벳푸-시마바라 지구대를 따라 북쪽에는 미즈나와 단층대, 남쪽에는 후타가와 단층대·히나구 단층대, 동쪽에는 벳푸-만넨야마 단층대, 서쪽에는 운젠 단층군 등 주요 활단층이 존재한다. 이들 활단층은 대부분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남북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받아 정단층형 운동(우향 이동 동반 가능)을 일으킨다.[8] 벳푸-시마바라 지구대의 남서쪽 연장선에는 오키나와 해구(동중국해)가 있으며, 여기에서도 얕은 깊이의 정단층이 관찰된다.

벳푸-시마바라 지구대는 내륙형 지진 발생 위험 지역으로 간주된다. 1596년 게이초 분고 지진벳푸만 해저의 벳푸-만넨야마 단층대에서 발생한 정단층형 활동으로 추정된다. 2016년 구마모토 지진 발생 시, 벳푸-만넨야마 단층대 방면에도 지진 활동(유발 지진)이 발생하여 벳푸-시마바라 지구대 전체의 활동이 활발해졌다.

5. 오키나와 해구와의 연관성

일본 남서부 큐슈 지역의 지각 변형, 지진, 현생 응력장 발달 특성은 현재 필리핀해판 섭입대의 배호 지역 내에서 배호 확장이 발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일본 남서부를 따라 비교적 고각으로 섭입 중인 필리핀해판 섭입대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2016년 4월 15일 발생한 규모 7.3의 2016년 구마모토 지진 분석 결과 역시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하는데, 이 지진은 주오 구조선을 따라 분포하는 N46°E/84NW의 단층면을 따라 발생한 우수향 주향이동단층운동에 의해 발생한 천발지진으로 보고되었다.[24]

벳푸-시마바라 지구대의 남서쪽 연장선에는 오키나와 해구(동중국해)가 있는데, 여기에서도 얕은 깊이의 정단층이 관찰된다.

벳푸-시마바라 지구대는 내륙형 지진에 경계해야 할 지역으로 여겨진다. 1596년 게이초 분고 지진벳푸만 해저에 있는 벳푸-만넨야마 단층대의 정단층형 활동이 일으킨 것으로 추정된다. 2016년 구마모토 지진에서는 북동쪽의 벳푸-만넨야마 단층대 방면에도 유발지진이 발생하여, 벳푸-시마바라 지구대 전반에서 지진 활동이 활발해졌다.

6. 연구 자료

일본 남서부(규슈, 시코쿠, 남서 혼슈)는 지질학적으로 난카이 해곡 서쪽이자 류큐 해구 북단에 해당한다. 큐슈 전반에 걸쳐 동북동~북동 또는 동-서 방향의 최대 수평 응력과 북북서~북서 또는 남-북 방향의 최소 수평 응력이 분포하며, 정이동성 응력 환경이 우세한 것으로 보고된다. 이는 다양한 방향성을 보이는 이 지역 활성 단층들의 운동 양상과도 잘 부합하는데, 큐슈 중앙부를 따라 동북동 또는 북동으로 배열된 구조선들은 대부분 정단층(Beppu-Shimabara Graben) 또는 우수향 주향 이동 단층으로 운동 중이며, 북북동~북북서로 배열된 구조선(Kagoshima Graben)들은 좌수향 주향 이동 단층 또는 역단층이 우세하다. 이러한 양상은 측지학적 연구 결과와도 잘 부합한다.

역사 지진 연구 결과, 큐슈 남부 연안에는 역단층 운동에 의한 지진이 우세한 반면, 큐슈 중앙부 '''벳푸-시마바라 지구대(Beppu-Shimabara Graben)'''를 따라서는 정단층 운동과 주향 이동 단층성 운동에 의한 지진이 우세한 것으로 관찰된다. 이와 같은 일본 남서부 큐슈 지역의 지각 변형, 지진, 현생 응력장 발달 특성은 현재 필리핀해판 섭입대 배호 지역 내에서 배호 확장이 발생하고 있음을 지시하며, 이는 일본 남서부를 따라 비교적 고각으로 섭입 중인 필리핀해판 섭입대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해석은 최근 구마모토 지진 분석 결과에 의해서도 지지되는데, 2016년 4월 15일 발생한 규모 7.3의 이 지진은 주오 구조선을 따라 분포하는 N46°E/84NW의 단층면을 따라 발생한 우수향 주향 이동 단층 운동에 의해 발생한 천발 지진으로 보고되었다.[24]

참조

[1] 논문 Contemporaneous ascent of within-plate type and island-arc type magmas in the Beppu–Shimabara graben system, Kyushu island, Japan 2001-11
[2] 논문 Electrical conductivity structures estimated by thin sheet inversion,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Beppu-Shimabara graben in central Kyushu, Japan https://www.terrapub[...] The Society of Geomagnetism and Earth, Planetary and Space Sciences 2016-04-16
[3] 웹사이트 Description of Mt. Aso http://www.aso.ne.jp[...] The Aso Volcano Disaster Prevention Council 2008
[4] 논문 Contemporaneous ascent of within-plate type and island-arc type magmas in the Beppu–Shimabara graben system, Kyushu island, Japan 2001-11
[5] 웹사이트 Geothermal sciences within the "Beppu-Shimabara Graben" http://www.vgs.kyoto[...] Institute for Geothermal Sciences Kyoto University 2016-04-16
[6] 웹사이트 지구열학연구시설의 입지 http://www.vgs.kyoto[...] 교토대학 대학원리학연구과 부속 지구열학연구시설 2016-04-16
[7] 웹사이트 別府‐島原地溝帯における地震活動と火山活動の相互作用の研究(平成23年度年次報告)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地震及び火山噴火予知のための観測研究計画」 実施計画(平成23年度修正版) 2016-04-16
[8] 문서 岡田 2014
[9] 문서 岡田 2014
[10] 문서 岡田 2014
[11] 문서 岡田 2014
[12] 뉴스 連続する地震 東の活断層や南海トラフへの影響は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2016-04-16
[13] 뉴스 活断層、横ずれ50キロ…大分にも震源域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6-04-16
[14] 웹인용 九州を南北に分裂させる地溝帯の構造を解明-2016年熊本地震の発生とも関連- https://www.tohoku.a[...] 2021-07-31
[15] 웹인용 立地 - 京都大学 地球熱学研究施設 http://www.vgs.kyoto[...] 2021-07-31
[16] 간행물 別府-島原地溝 https://www.kubota.c[...] 市原実
[17] 간행물 別府-島原地溝 http://www.kubota.co[...] 松本征夫
[18] 웹인용 The Electrical High Conductivity Layer beneath the Northern Okinawa Trough, Inferred from Geomagnetic Depth Sounding in Northern and Central Kyushu, Japan https://www.jstage.j[...] Journal of geomagnetism and geoelectricity 1992
[19] 웹인용 Electrical conductivity structures estimated by thin sheet inversion,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Beppu-Shimabara graben in central Kyushu, Japan https://www.jstage.j[...] 2005
[20] 웹인용 The Electrical High Conductivity Layer beneath the Northern Okinawa Trough, Inferred from Geomagnetic Depth Sounding in Northern and Central Kyushu, Japan https://www.jstage.j[...] Journal of geomagnetism and geoelectricity 1992
[21] 웹인용 別府‐島原地溝帯における地震活動と火山活動の相互作用の研究 (平成23年度年次報告) http://www.mext.go.j[...] 文部科学省 「地震及び火山噴火予知のための観測研究計画」 実施計画 (平成23年度修正版) 2016-04-16
[22] 웹인용 Quaternary stress history of the Beppu-Shimabara graben revealed by meso-scale fault analysis (JP) https://www.jstage.j[...] The Geological Society of Japan 2018
[23] 웹인용 I-2 Crustal deformations in central Kyushu and its tectonic interpretation https://www.jstage.j[...] The Geological Society of Japan
[24] 웹인용 한반도 신기 지각변형과 현생 응력장 그리고 지구조적 의미: 논평 (17 페이지) https://www.koreasci[...] 한국암석학회 2016
[25] 웹인용 일 구마모토 지진, 또다른 활단층에 영향 가능성 https://www.hani.co.[...] 2021-07-31
[26] 웹인용 구마모토서 동북쪽으로 확산…원전있는 시코쿠도 ‘비상’ https://www.hani.co.[...] 2021-07-31
[27] 문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판이 섭입 당하는 판, 그 반대쪽이 섭입하는 판
[28] 문서 소멸된 판
[29] 문서 백악기에서 고제3기에 걸쳐 형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